본문 바로가기

내배캠/TIL

TIL/1/20230313

728x90

1. 터미널 명령어 모음

  1. 탐색하기
    • ls : 현재 경로에 존재하는 파일/폴더 확인하기
      • ls는 list의 약자로, 현재 자신의 위치에 있는 파일과 폴더들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. 아래의 이미지처럼 ls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, 해당 경로에 존재하는 여러 파일과 폴더들의 이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.
    • pwd : 현재 위치한 경로 출력하기
      •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, 현재 어떤 경로의 디렉토리에 있는지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. 아래 제가 입력한 화면을 보면 최상위 디렉토리의 Users라는 디렉토리의 jaeha라는 디렉토리가 현재 경로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• cd : 디렉토리 이동하기
      • cd는 change directory의 약자로, 경로를 이동할 때 사용하는 명령어입니다. 위에서 ls 명령어를 사용했을 때 나타났던 여러 폴더와 파일 중에서, Desktop 폴더로 이동해볼게요! cd Desktop을 입력하면 현재 경로가 명령어 입력하는 곳에 나타나고 pwd를 입력했을 때 현재 경로가 수정된 것을 확인할 수 있습니다.
      • cd .. 
       
  2. 파일/폴더 관리하기
    1. touch : 파일 생성하기
      touch는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. touch 뒤에 파일명을 적으면 되는데요, 저는 test.txt 파일을 만들어보았습니다. ls 명령어를 통해 파일이 잘 생성된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2. mkdir : 폴더 생성하기
      mkdir은 make directory의 약자로, 새로운 폴더를 생성하는 명령어입니다. test라는 폴더를 만들었는데, ls 명령어로 확인해보니 역시 잘 생성되었네요.
    3. cat : 파일 확인하기
      cat은 concatenate의 약자로,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. 제가 임시로 test2.txt라는 파일을 만들어두었는데요, cat test2.txt를 입력하니 파일의 내용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4. rm : 파일 삭제하기
      rm은 remove의 약자로, 파일을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. 한 번 test2.txt 파일을 삭제해볼까요? 삭제한 이후 ls 명령어를 실행하면, test2.txt 파일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5. rmdir : 폴더 삭제하기
      rmdir은 remove directory의 약자로, 폴더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. 한 번 저희가 만들었던 test 폴더를 삭제해볼게요.
    6. rm -r : 파일을 갖고 있는 폴더 삭제하기
      저희가 rmdir 명령어로 삭제한 test 폴더는 내부에 파일이 없던 빈 폴더였습니다. 그렇다면 내부에 파일이 있는 폴더라면 어떻게 될까요? 확인해보기 위해, 위에서 배운 명령어를 사용하여 test2라는 폴더를 다시 만들고 내부에 다시 file1.txt, file2.txt 파일을 만들어보았습니다.
    7. vi
      1. vi a.txt : a.txt 메모장 작성하기
      2. a 입력 후 insert 표시가 뜨면 텍스트 입력하기
      3. 텍스트 작성 후 저장할때는 한줄 공란 만들고 저장하기
      4. 저장은 키보드 esc입력 후 insert 표시가 사라지면 :w 저장 또는 :wq 저장 후 종료 하기
       
     
  3. 기타 유용한 명령어
    1. clear : 터미널 정리하기
      clear는 터미널을 정리해주는 명령어입니다. ls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다 보면, 터미널 화면이 길어지고 지저분해 보이기도 하죠. 그때 clear 명령어를 입력하면 터미널 창이 처음 열었을 때처럼 깨끗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  2. history : 이전에 사용한 명령어 확인하기
      history는 이전에 사용한 명령어들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입니다. history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번호와 명령어가 쭉 나열되는데요. 여기서 느낌표와 번호를 입력하면, 해당 번호에 맞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  3. man : 명령어 매뉴얼 확인하기
      man은 manual의 약자로, 원하는 명령어의 매뉴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man 뒤에 살펴보고 싶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되는데요, 한 번 우리가 배웠던 ls 명령어의 매뉴얼을 볼까요? 실행해보면 명령어의 이름부터 설명, 옵션 등등 다양한 정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원래 화면으로 나가고 싶다면, quit을 뜻하는 알파벳 q를 누르면 됩니다.

 

728x90

'내배캠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/6/20230320  (0) 2023.03.20
TIL/5/20230317  (0) 2023.03.17
TIL/4/20230316  (0) 2023.03.16
TIL/3/20230315  (0) 2023.03.15
TIL/2/20230314  (0) 2023.03.1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