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내배캠/TIL

TIL/8/20230322

728x90

파이썬 기초 정리


 

[ 변수 ] : 값을 담고 있는 박스

컴퓨터 입장에서는 값이 담긴 위치를 가리키는 것이다.
메모리에 올려져 있는 값을 가리키고 있다.

 

나누기 나머지 값 구하는 방법, 짝수 홀수 판별하는 방법

print(a%b)

변수(값)에는 소수열, 문자열(작음따옴표로 감싸주기),
참/거짓형(조건문)도 나눌 수 있다.

 

== 은 같다라는 의미.
!= 은 같지 않다는 의미.



[ 문자열 ]

문자열은 변수와 구분되어야 하기 때문에 ‘’(작은따옴표)를
사용해 구분한다. 
‘’(작은따옴표)는 무조건 문자열이다.

a = 2
는 숫자 2

a = '2'
는 문자열 2
a = ‘2’
b = ‘hello’

print(a+b)

2hello

문자열 2와 문자열 hello는 합이 가능
a = 2
b = ‘hello’ 

print(a+b)

숫자 2와 문자열 hello는 합이 불가

 

 

a = ‘2’
b = 2

일 때 b의 2를 문자열로 바꾸고 싶다면 str을 붙여서 문자열로 만들수있다. 

a = '2'
b = str(2)

 

문자열 숫자 세기

text = ‘abcdefghijk’

result = len(text)

print(result)

11이 출력됨

 

 

문자열 자르기

text = 'abcdefghijk'

result = text[:3]

print(result)

abc가 출력됨

0,1,2번까지 출력되고 3번째부터는 잘린다.
text = 'abcdefghijk'

result = text[3:]

print(result)

defghijk가 출력됨

0,1,2번은 잘리고 3번째부터 출력됨
text = 'abcdefghijk'

result = text[3:7]

print(result)

defg가 출력됨

0,1,2번째는 잘리고 3번째부터 6번째까지 출력되고 7번째부터 잘린다.

중요한건 굳이 외울필요는 없고 원리만 잘 응용해서 임의값을 대입하고 원하는 값을 찾아내자!

 

문자열 나누기

myemail = 'woongpang@tistory.com'

result = myemail.split(@)

print(result)

[‘woongpang’, ‘tistory.com’] 출력됨
split(‘@’) 기준으로 나누어짐. 

도메인값만 필요하다면
 
result = myemail.split(@)[1]
tistory.com 출력됨. 
 
여기서 다시한번 .split(‘.’)를 하면

result = myemail.split('@')[1].split('.')

[‘tistory’, ‘com’] 출력됨.

 

728x90

'내배캠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IL/10/20230324  (2) 2023.03.24
TIL/9/20230323  (0) 2023.03.22
TIL/7/20230321  (0) 2023.03.21
TIL/6/20230320  (0) 2023.03.20
TIL/5/20230317  (0) 2023.03.17